Shortest Path
최단거리 문제
입력으로 그래프의 정보(간선과 정점의 갯수)와 각 간선의 가중치가 주어질 때, 출발점에서 도착점까지의 가는데 드는 최소비용을 구하는 문제
최단경로의 특성
i. Optimal Substructure를 가지고 있다. (Dynamic Programming)
distance(n, m)
: n에서 m까지의 최단거리이라고 정의한다면
distance(1, 4) = distance(1, 2) + distance(2, 3) + distance(3, 4)
로 정의할 수 있다.
증명
만약 각 구간 중 하나라도 구해진 최단경로보다 더 짧은 경로가 존재한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전체 최단경로는 더 짧아질 것이고, 기존에 구했던 최단경로는 더이상 최단경로가 아니게 된다.
이에 모순이 발생하므로 모든 구간의 최단경로의 합은 전체의 최단경로가 된다.
ii. Triangle inequality: w[u,v] <= w[u,x] + w[x,v]
w[u,v]
: 경로 u-v의 가중치
ex) 대전에서 서울을 갈때, 같은 속도로 움직인다면, 대전에서 태안을 갔다가 태안에서 서울을 가는 것이 대전에서 서울로 바로가는 것보다 느리다.
cf> Negative-weight edge
경로 가중치가 0보다 작다면?
- Negative-weight cycle: 그 사이클을 무한히 돈다면 w[u, v] = -INF가 되어버리기 때문에 계산이 안된다.
- Negative-weight edge: 사이클이 없는 음수 가중치가 있다면 계산은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몇몇 알고리즘은 음이 아닌 정수의 가중치에서만 동작한다.
또한 최단경로에서 cycle은 항상 포함될 수 없다.
음이던 양이던 사이클이 존재하면 거리계산이 부정확하고, 가중치가 0인 사이클은 아무 의마가 없기 때문이다.
1. Single-Source Path
임의의 정점 하나에서 시작해서 모든 정점까지의 거리를 구하는 문제
설계모델
- s: 출발점
- V: 출발점을 포함한 모든 정점
- d[v]: s에서 v 정점까지의 최단거리
- p[v]: v 정점의 parent, v 정점을 오기 전 어느 정점을 거쳐 왔는가를 나타냄
위의 정의를 이용해 최단경로를 구하는 과정을 서술하면 아래와 같다.
i. 모든 정점 V에 대해서 d[v]를 무한대로 설정한다.
ii. Relaxation을 거치면서 d[v]를 감소시킨다.
Relaxation
들어가기 앞서, Relaxation이란 최단경로 특성의 optimal structure을 이용한 것이다.
d[v] > d[u] + w(u,v)
인 경우 d[u] + w(u,v)
값이 더 작다면 값을 d[v]
값을 낮춰주는 과정이다.
의사코드
INIT-SINGLE-SOURCE(V, s) {
for each v : V {
do d[v] = INF;
p[v] = NIL;
}
d[s] = 0;
}
Relaxation(u,v,w) {
if (d[v] > d[u] + w) { /* w = w(u,v) */
d[v] = d[u] + w;
p[v] = u;
}
}
Bellman-Ford Algorithm
개요
- 간선 가중치가 음수여도 가능한 단일 출발점 최단경로 알고리즘이다.
- 반환 값으론 bool 값을 반환한다.
- FALSE: negative-weight cycle
- TRUE: No negative-weight cycle
그래프의 vertex의 갯수만큼 모든 edge에 대해서 relaxation을 진행한다.
의사코드
BELLMAN-FORD(V, E, w, s) {
// INIT-SINGLE-SOURCE(V, s);
for each v : V {
do d[v] = INF;
p[v] = NIL;
}
d[s] = 0;
// why 1 to V-1?
// 마지막 정점은 어차피 이전 정점을 relaxation 하면서 완료되었으니 건너 뛴다.
for (i = 1; i < V-1; i++) {
for each edge (u,v) : E
Relaxation(u, v, w)
}
// 왜 한번 더 체크할까?
// 음의 사이클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 만약 음가중치 사이클이 있다면 최단경로 w(u, v) < 0 이므로
for each edge (u,v) : E {
if (d[v] > d[u] + w(u,v)) return false
}
return true;
}
동작과정
Relaxation을 통해 d[v]가 바뀌는 시점만 있습니다.
시간복잡도: $ O (V*E) $
why? |V| - 1만큼 relaxation을 해주기 때문
c++ 코드
// 벨만포드 알고리즘은 따로 인접리스트나 인접행렬을 만들어 주지 않아도 된다.
// 왜냐하면 간선의 정보를 저장하기 때문에 그 정보안에 모든 것이 다들어있기 때문이다.
// tuple 자료구조 찾아보기
#include <cstdio>
#include <tuple>
#include <vector>
using namespace std;
#define MAX 99999999
vector < tuple <int, int, int> > Edge; // 0: src 1: dst 2: weight
int V, E, start;
int d[501]; // distance
int p[501]; // parents node
bool BellmanFord() {
// init
for (int v = 1; v <= V; v++) {
d[v] = MAX;
}
// relaxation
d[start] = 0;
for (int i = 1; i < V; i++) {
for (int j = 0; j < E; j++) {
int u = get<0>(Edge[j]);
int v = get<1>(Edge[j]);
int w = get<2>(Edge[j]);
// 출발점의 거리가 무한대일때 탐색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 조건을 하나 더 넣어준다.
if (d[u] != MAX && d[v] > d[u] + w) {
d[v] = d[u] + w;
p[v] = u;
}
}
}
// check negative weighted cycle
for (int i = 0; i < E; i++) {
int u = get<0>(Edge[i]);
int v = get<1>(Edge[i]);
int w = get<2>(Edge[i]);
if (d[u] != INF && d[v] > d[u] + w)
return false;
}
return true;
}
int main() {
scanf("%d %d %d", &V, &E, &start);
for (int i = 0; i < E; i++) {
int u, v, w;
scanf("%d %d %d", &u, &v, &w);
Edge.push_back(make_tuple(u, v, w));
}
if (BellmanFord()) {
for (int i = 1; i <= V; i++) {
if (d[i] == MAX) printf("d[%d]: INF\n", i);
else printf("d[%d]: %d\n", i, d[i]);
}
}
else printf("It contains negative weighted cycle\n");
return 0;
}
Single Source in DAG
- DAG이기 때문에 싸이클이 없습니다.
- DAG의 모든 경로는 토폴로지로 정렬된 하위 시퀀스이므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각 최단 경로의 정점을 처리한 다음 한 번에 수행됩니다.
의사코드
DAG-SHORTEST-PATHS(V, E, w, s)
topologically sort the vertices
INIT-SINGLE-SOURCE(V, s)
for each vertex u, take in topologically sorted order
do for each vertex v in Adj[u]
do RELAX(u, v, w)
시간복잡도: $ \theta (V+E) $
Dijkstra Algorithm
개요
- 음이 아닌 정수인 가중치 그래프에 대해서만 사용 가능
- BFS와 비슷하다 (가중치 있는 버전의 BFS)
- 큐에서 꺼내온 정점에서 시작하여 점차적으로 Tree를 확장시키는 느낌
- FIFO queue 대신 Priority queue를 사용
설계
두 개의 집합을 준비한다.
- S = 최단 경로에 포함된 정점.
- Q = 우선순위 큐 = V – S.
i. 초기 정점 s (s ∈ Q)를 선택하고 s에 대한 거리는 0, s를 제외한 모든 정점에 대한 거리를 무한대로 설정합니다.
ii. s에 인접한 모든 정점에 대하여 rexalation합니다.
iii. 모든 인접 정점에 대해서 rexalation이 끝난 정점 s를 큐에서 제거하고 집합 S에 추가해줍니다. (방문한 노드로 표시)
iv. 방문한 정점들과 연결되어 있는 정점들 중, 비용이 가장 적게 드는 정점을 정점 s로 선택합니다.
v. ii~iv를 큐가 빌때까지 반복합니다.
왜 양의 가중치 간선에 대해서만 사용이 가능한가요?
모든 정점을 방문할 때 까지, 기존에 방문한 정점의 값을 다시 갱신시킨다거나 건드리는 일이 없었다. 간단하게 정점 3개만 가지고 한번 생각을 해보자.
0에서 2까지 가는 최단경로는 0→2가 되어야한다. 그런데, 0에서 2로 가는데 드는 최소비용이 단지, A에서 연결된 정점들 중 비용이 가장 적다는 이유만으로 최소비용이 3이라고 단정지을 수 있냐 라는 것이다.
그럼 "단정지을 수 없다." 라고 가정을 하고 위의 X값을 한번 구해보자. 5라고 단정지을 수 없다라는 말은, 0 → 1 → 2가 3보다 더 작은 값이 나와야 한다는 말이다. 그럼 X값은 6 + X < 3 이기 때문에, X < - 3. 즉, X가 -3보다 작다면 위의 상황에서 2로 가는데 최소 비용이 3이라고 단정지을 수 없게 된다.
이게 다익스트라 알고리즘에 음수 가중치 간선이 있으면 안되는 이유이다. 그래프에서 정점을 잇는 간선의 가중치에 '음수'가 들어가버리면 다익스트라 알고리즘은 적용할 수가 없게 된다.
그럼 다시 위의 상황을 봐보자. 0 → 2가 3이다. 마찬가지로, 2로 가는데 드는 최소비용이 3라고 단정지을 수 없다라고 가정을 해보자. 이 때 X값을 구해보자. 단, (X > 0) 이다. 위의 조건을 만족하는 X값은 없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위에서 설명할 때에도 현재 선택된 정점들과 연결된 정점들 중, 가장 적게 비용이 드는 정점을 방문했 다고 체크하고 이미 방문한 정점에 대해서는 값을 업데이트 하거나 하지 않았던 것이다.
의사 코드
Dijkstra (G, w, s)
INITIALIZE-SINGLE-SOURCE (G, s)
set S = {};
priority_queue Q;
for (int i = 0; i < V; i++)
Q.push(V[i]);
while (!Q.empty())
u = EXTRACT-MIN(Q);
S.insert(u);
for each vertext v in adj[u]
Relaxation(u, v, w)
동작
s->t로 가는 최단경로 찾기
코드
#include <iostream>
#include <queue>
#include <vector>
#include <algorithm>
#include <utility>
#include <set>
#include <stack>
using namespace std;
#define PAIR pair<int, int>
int d[1000], p[1000];
vector <PAIR> adj_list[1000];
void dijsktra(int V, int E, int start) {
for (int i = 1; i <= V; i++) {
d[i] = 9999999;
p[i] = -1;
}
d[start] = 0;
p[start] = 0;
set <int> S;
priority_queue <PAIR, vector<PAIR>, greater<PAIR> > Q;
for (int i = 1; i <= V; i++) {
Q.push(make_pair(d[i], i));
}
while (!Q.empty()) {
int u = Q.top().second;
Q.pop();
S.insert(u);
for (int i = 0; i < adj_list[u].size(); i++) {
int v = adj_list[u][i].first;
int w = adj_list[u][i].second;
if (d[v] > d[u] + w) {
d[v] = d[u] + w;
p[v] = u;
Q.push(make_pair(d[v], v));
}
}
}
}
int main() {
int V, E, src, dest;
cin >> V >> E >> src >> dest;
for (int i = 0; i < E; i++) {
int u, v, w;
cin >> u >> v >> w;
adj_list[u].push_back(make_pair(v, w));
}
dijsktra(V, E, src);
// 각 정점까지의 최단거리
for (int i = 1; i <= V; i++) {
cout << "d[" << i << "]: " << d[i] << endl;
}
// 최단경로 출력
stack <int> sp;
while (1) {
sp.push(dest);
dest = p[dest];
if (dest == 0) break;
}
cout << "shortest path: ";
while (!sp.empty()) {
cout << sp.top() << " ";
sp.pop();
}
return 0;
}
시간복잡도
- 바이너리 힙: $ O (E \log V) $
- 피보나치 힙: $ O (V \log V + E) $
'Algorithm > 그래프' 카테고리의 다른 글
DFS 심화 (1) - Bipartite (이분 그래프) (0) | 2021.08.13 |
---|---|
최단경로 문제 (2) - ASP (플로이드-와샬) (0) | 2021.08.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