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S study/[core] 데이터 구조

14. Graph Basics

Graph

그래프란?

정점(V, vertex)와 그 노드를 연결하는 간선(E, edge)을 하나로 모아 놓은 자료 구조

graph.png

= 연결되어 있는 객체 간의 관계를 표현할 수 있는 자료구조

 

용어

  • 정점(Vertex, V): 꼭짓점 (node라고도 부름)
  • ex) 위 그래프에서 정점은 총 7개 0,1,2,3,4,5,6 이 있다.
  • 간선(Edge, E): 꼭짓점 간의 관계, 꼭짓점을 연결하는 선 (link, branch라고도 부름)
  • ex) 위 그래프에선 간선이 총 6개 [(0-1) ,(1-2), (1-3), (2-5), (2-6), (3-4)] 있다.
  • 인접 정점(adjacent vertex): 간선에 의해 직접 연결된 정점
  • ex) 위 그래프에선 정점 1의 인접 정점은 정점 0, 2, 3이 있다.
  • 정점의 차수(degree): 하나의 정점에 인접한 정점의 수
  • ex) 위 그래프에서 정점 1의 degree는 3 이다. (정점 0, 2, 3)

 

  • 경로 길이(path length): 경로를 구성하는 데 사용된 간선의 수
  • ex) 위 그래프에서 0부터 5까지 가는 경로 길이는 [(0-1), (1-3), (3-5)]를 거쳐가므로 3이다.
  • 단순 경로(simple path): 경로 중에서 반복되는 정점이 없는 경우
  • ex) 위 그래프에서 i != j 일때, 정점 i에서 정점 j까지 가는 최단 경로는 모두 단순경로이다.
  • 사이클(cycle): 단순 경로의 시작 정점과 종료 정점이 동일한 경우
  • cf> 정점 i에서 다시 정점 i로 돌아올 수 있는 경로가 있을 때, cyclic 그래프라고 한다.

 

 

 

종류

  • Acyclic vs Cyclic
graph.png

ACyclic: Cycle을 하나도 포함하고 있는 않은 그래프

 

graph.png

Cyclic: Cycle을 하나라도 포함하고 있는 그래프

 

  • Undirected vs Directed
graph.png

Undirected: 방향성이 없어 양방통행이 가능한 그래프

 

graph.png

Directed: 방향성이 있어 일방통행만 가능한 그래프

 

 

  • Unconnected vs Connected
graph.png

Unconnected: 어느 정점 i에서 정점 j로의 경로가 하나도 없는 그래프

 

graph.png

Connected: 어떤 정점에서 시작하더라도 다른 모든 정점으로 가는 경로가 모두 있는 그래프

 

  • Complete
graph.png

Complete: 모든 정점이 연결되어 있는 그래프.

V개의 정점이 있다면, E = V(V-1) / 2

 

  • Sparse vs Dense
graph.png

o Sparse: E < V2 인 그래프

o Dense: E >= V2인 그래프

기준이 대충 이렇다는 거고, 눈으로 보기에 빽빽해 보이면 Dense임. 아무튼 Dense임

 

  • Weighted
graph.png

o Weighted: 간선마다 가중치가 다른 그래프

o Unweighted: 모든 간선이 가중치가 같은 그래프

 

그래프의 표현

// graph.h
// a structure to represent an adjacency list node

typedef struct GNode *pGNode;
typedef struct GNode {
  int item;
  pGNode next; 
} GNode;

// a structure to represent a graph.
// a graph is an array of adjacency lists.
// size of will be V (number of vertices in graph)
typedef struct Graph *pGraph; 
typedef struct Graph {
  int V; // number of vertices in the graph 
  int E; // number of edges in the graph 
  pGNode adj; // an array of adjacency lists
} Graph;


pGNode newGNode(int item) {
  pGNode node = (pGNode)malloc(sizeof(GNode)); assert(node != NULL);
  node->item = item;
  node->next = NULL;
  return node;
}


pGraph newGraph(int V) {
  pGraph g = (pGraph) malloc(sizeof(Graph)); 
  assert(g != NULL) ;
  g->V = V;
  g->E = 0;
  
// create an array of adjacency list. size of array will be V 
  
  g->adj = (pGNode)malloc(V * sizeof(GNode)); 
  assert(g->adj != NULL);
  
// initialize each adjacency list as empty by making head as NULL;

 for (int i = 0; i < V; i++) {
  	g->adj[i].next = NULL; 
  	g->adj[i].item = i
 }
  return g; 

}


// add an edge to an undirected graph
 void addEdgeUniDirection(pGraph g, int v, int w) {
   // add an edge from v to w.
   // A new node is added to the adjacency list of v.
   // The node is added at the beginning
   
   pGNode node = newGNode(w);
   node->next = g->adj[v].next;
   g->adj[v].next = node;
 }

// add an edge to an undirected graph
void addEdge (pGraph g, int v, int w) {
  addEdgeUniDirection(g, v, w);
  addEdgeUnidirection(g, w, v);
}

 

 

 

  1. 인접 리스트 (Adjacency List)
graph.png

 

설계

우선 모든 정점에 대한 인접 리스트를 만든다. (여기선 A, B, C, D)

그리고 차례로 각 정점의 인접 정점을 차례로 저장한다. (가중치가 있다면, 가중치도 함께 저장할 수 있다.)

// 인접 리스트
A: (B,3), (D,1)
B: (A,3), (C,4), (D,2)
C: (B,4), (D,2)
D: (A,1), (B,2), (C,2)

cf> 무방향 그래프(Undirected Graph)에서 (a, b) 간선은 두 번 저장된다.

 

구현

자료 구조는 보통 linked list를 사용하지만, vector를 사용해도 무방

#include <iostream>
#include <vector>
#include <utility>
using namespace std;


int main() {
    int E, weight, V1, V2;
    vector< <pair <int, int> > adj;
    
    // E = edge의 수, V1, V2는 정점1, 2
 		cin >> E;
    for (int i = 0; i < E; i++) {
        cin >> V1 >> V2 >> weight;
        adj[V1].push_back(make_pair(V2, weight));
        adj[V2].push_back(make_pair(V1, weight));
  }
}

 

인접리스트의 장단점

  • 장점
    • 실제 연결된 노드만 저장한다. 즉, 모든 vector원소 갯수의 합은 간선의 갯수이다.
    • 전체 정점 탐색시 시간복잡도는 O(E), 공간복잡도는 O(V+E)V개의 리스트에 실제 간선만큼의 원소가 들어있으므로 V+E
    • why? 전체 간선의 갯수(E)만 저장했으므로,
  • 단점
    • 어떤 두 정점이 연결되어있나 확인하려면 인접리스트 한개를 모두 검사해야하므로 느리다.
    • 시간복잡도: O(V)

 

  1. 인접 행렬 (Adjacency Matrix)
graph.png

 

구현 설계

우선 모든 N개의 정점에 관하여 NxN의 행렬을 만든다.

그리고 정점 i번과 정점 j번이 연결되어 있다면 1 (가중치 그래프일 경우 Edge의 가중치), 연결되어 있지 않다면 0

cf> 무방향 그래프(Undirected Graph)에서 (i, i)를 기준으로 인접행렬은 대칭이다.

 

구현

자료구조는 2차원 배열을 사용한다.

#include <iostream>

using namespace std;

int main() {
    int E, weight, V1, V2;
    int adj_mat[100][100]
    
    // E = edge의 수, V1, V2는 정점1, 2
 	cin >> E;
    for (int i=0; i < E; i++) {
        cin >> V1 >> V2 >> weight;
        adj[V1][V2] = weight;
        adj[V2][V1] = weight;
  }
}

 

인접 행렬의 장단점

  • 장점
    • 직관적이고 구현이 빠르다.
    • O(1)의 시간복잡도로 두 정점 V1, V2의 연결유무를 알 수 있다.
    • adj[V1][V2] > 0 이면 V1, V2는 연결되어있다.
  • 단점
    • 어떤 정점에 연결된 모든 정점을 검색 할 때의 시간복잡도: O(V)
    why? adj[i][1] ~ adj[i][V]를 모두 탐색해야함
  • 따라서 모든 정점에 대해 연결 유무를 탐색하려면 시간복잡도 O(V*V) = O(V2)

 

  1. 인접행렬과 인접리스트의 결론

위 두 표현법의 장단점을 살펴본 결과 어느 것이 항상 좋다고는 말할 수 없다.

그렇다면 언제 무엇을 사용해야 할까?

  인접 행렬 인접 리스트
특정 정점 한 쌍의 연결 확인 시간복잡도 O(1) O(V)
모든 정점에 대해 연결 확인 시간복잡도 O(V2) O(E)
그래프를 저장하는데 사용되는 공간복잡도 O(V2) O(V+E)
  • E(간선의 수)가 V2에 비해 훨씬 적은 그래프일 경우(Sparse Graph): 인접 리스트
  • E(간선의 수)가 V2에 비례하는 그래프일 경우(Dense Graph): 인접 행렬

 

Why?

E = V2라고 가정하면 (Dense Graph의 경우)

  인접 행렬 인접 리스트
특정 정점들의 연결 확인 O(1) O(V)
정점 전체의 연결 확인 O(V2) O(V2)
공간복잡도 O(V2) O(V+V2)

가 되므로 인접 행렬이 더 효율적이기 때문이다.

반대로 E < V2이 된다면 인접 리스트가 더 효율적일 것이다.

 

 

Graph processing problems

Path. Is there a path between s and t ?

Shortest path. What is the shortest path between s and t ?

Cycle. Is there a cycle in the graph?

Euler tour. Is there a cycle that uses each edge exactly once?

Hamilton tour. Is there a cycle that uses each vertex exactly once.

Connectivity. Is there a way to connect all of the vertices?

MST. What is the best way to connect all of the vertices?

Biconnectivity. Is there a vertex whose removal disconnects the graph?

Planarity. Can you draw the graph in the plane with no crossing edges

Graph isomorphism. Do two adjacency lists represent the same graph?

'CS study > [core] 데이터 구조' 카테고리의 다른 글

16. 그래프 탐색 (2) - DFS  (0) 2021.07.20
15. 그래프 탐색 (1) - BFS  (0) 2021.07.20
11. AVL tree  (0) 2021.07.10
10. Heapsort  (0) 2021.07.09
9. Heap, Priority Queue  (0) 2021.07.09